본문 바로가기

알면 좋은 정보

연차 발생기준 한눈에 보기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꼭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 중 하나가 바로 연차 발생기준이에요. 

오늘은 연차가 언제부터 어떤 기준으로 발생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목차
1. 연차란?
2. 입사 첫 해, 연차 발생기준?
3. 입사 1년이 지나면 발생하는 정기 연차 
4. 3년 이상 근속 시 연차는 더 늘어난다
5. 연차 사용 기한과 소멸 기준
6.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 발생기준
7. 연차 발생기준 요약표
8. 연차 발생기준 관련 팁

 

 

1. 연차란?

연차 발생기준

 

연차휴가는 근로자가 일정 기간 성실하게 근무했을 때 법적으로 보장받는 유급휴가 제도입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1년간의 근무 성과에 따라 일정 일수의 유급휴가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유급휴가는 단순한 휴식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근로자의 건강권,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 유급휴가란? 휴가일에도 정상적인 급여가 지급되는 휴가를 의미합니다. 

 

 

2. 입사 첫 해, 연차 발생기준?

연차 발생기준

 

2021년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따라 입사 첫 해에는 매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발생하는 연차는 최대 11일까지 가능하며 이를 통상 월차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근무 개월 수  발생 연차일수 
1개월 경과 시  1일 발생 
2개월 경과 시  2일 발생
11개월 경과 시  11일 발생 

 

※ 이 연차는 익월에 소멸하지 않고 1년간 유효합니다. 

단, 입사 첫 해의 월 단위 연차는 다음 해 정기 연차(15일)와 중복되지 않습니다. 

 

※ 예외: 월 단위 연차를 모두 소진하지 않으면 그만큼 다음 해 연차가 줄어들지 않아요. 

 

 

3. 입사 1년이 지나면 발생하는 정기 연차 

연차 발생기준

 

입사 후 1년이 경과한 시점부터는 15일의 연차가 한꺼번에 부여됩니다. 

이 연차는 정기 연차라고 하며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만 주어지는 조건이 있습니다. 

 

  • 입사일 기준 1년이 되는 날 → 연차 15일 발생
  • 발생일로부터 1년 동안 사용 가능 
  •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 또는 연차수당 지급 가능 

※ 예시 

2024년 5월 10일 입사 → 2025년 5월 10일부터 연차 15일 발생 

80% 미만 출근 시에는 연차가 발생하지 않거나 비례해 줄어듭니다. 

 

 

4. 3년 이상 근속 시 연차는 더 늘어난다 

연차 발생기준

 

3년 이상 장기 근속한 경우에는 2년에 1일씩 연차가 추가로 발생합니다. 

이는 근속에 대한 보상 개념으로 이해하면 쉬워요. 

 

근속연수 연차 일수 
1년 ~3년 15일
4년차 16일
6년차 17일
8년차 18일
최대 25일 

 

 

정규직, 계약직 모두 동일 기준이 적용됩니다. 

 

 

5. 연차 사용 기한과 소멸 기준

연차 발생기준

 

 

연차는 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소멸되거나 연차 수당으로 지급될 수 있습니다. 

 

※ 중요한 포인트!!

회사가 연차 사용을 독려(촉진)했는지에 따라 연차수당 지급 여부가 달라집니다. 

 

● 연차촉진제도란? 

회사가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해 두 차례 서면으로 사용을 독려했을 경우 그 연차는 수당 없이 소멸됩니다. 

즉, 회사가 연차 사용을 적극 권장했다면 미사용 연차는 수당 지급 없이 소멸될 수 있습니다. 

 

 

6.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 발생기준

연차 발생기준

 

 

주 15시간 이상, 월 60시간 이상 근무하는 단시간 근로자 역시 정규직과 동일하게 연차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근무일수에 따라 연차 일수가 다를 수 있으며 비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예) 주 3일 근무 → 연차도 비례해 발생 

 

※ 1주일에 15시간 미만 근무자에게는 연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7. 연차 발생기준 요약표 

 

구분 연차 일수  조건
입사 1년 미만 매월 1일, 최대 11일 매월 개근 시 
입사 1년 이상  연 15일 1년 80% 이상 출근 
3년 이상 근속  2년마다 1일 추가(최대 25일) 80% 이상 출근 및 장기 근속 

 

 

8. 연차 발생기준 관련 팁

연차 발생기준

 

  • 연차는 연초에 계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잔여 연차는 급여명세서 또는 인사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요. 
  • 부득이하게 사용하지 못한 연차는 연차수당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점도 기억하세요.
  • 연차 사용은 근로자의 권리이며 회사가 임의로 제한할 수 없습니다. 단, 시기 변경 요청은 가능합니다. 

연차는 단순한 휴가가 아니라 근로자의 권리이자 휴식의 시간입니다. 

연차 발생기준과 법적 권리를 잘 이해하고 내 상황에 맞게 계획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을 길러보세요. 

제대로 된 휴식은 더 나은 업무 효율과 삶의 균형을 만들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