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매년 7월이 되면 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재산세 납부일이에요.
그래서 오늘은 2025년 재산세 납부일을 놓치지 않도록 필수 체크리스트를 준비해 보았어요.
목차
● 재산세란?
● 재산세 납부일은?
● 주택 재산세 납부일 왜 두 번 일까?
● 재산세 납부일 납부 방법은?
● 가산세, 꼭 피해야 해요!
● 재산세 납부일 체크리스트 요약
1. 재산세란?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부동산, 건축물, 선박, 항공기 등의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예요.
2025년 6월 1일 기준으로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7월과 9월에 재산세 고지서를 받게 돼요.
2. 재산세 납부일은?
재산세는 소유한 부동산의 종류와 세액에 따라 납부 시기가 달라요.
1 기분 (7월 납부)
주택분 재산세 절반
건축물, 선박, 항공기
납부 기간: 2025년 7월 16일(수) ~ 7월 31일(목)
※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2 기분 (9월 납부)
주택분 나머지 절반
토지분 재산
납부 기간: 2025년 9월 16일(화) ~ 9월 30일(화)
3. 주택 재산세 납부일 왜 두 번 일까?
2021년부터 주택분 재산세는 일정 금액 이하일 경우 7월에 한 번에 납부하고 세액이 20만 원을 넘는 경우에는 7월과 9월로 나누어 납부하게 돼요.
즉, 세액이 많을수록 두 번에 나누어 고지서가 발행된답니다.
4. 재산세 납부일 납부 방법은?
재산세 납부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능해요.
1. 위택스(Wetax) 또는 지방세입계좌이체
2. 은행 자동이체 / CD / ATM
3. ARS 전화납부
4. 모바일 간편 결제 (카카오페이, 토스 등)
여러 방법 중 본인이게 편한 방법을 골라 납부할 수 있어요.
고지서를 분실한 경우에도 위택스에서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으니 걱정 마세요.
5. 가산세, 꼭 피해야 해요!
재산세는 기간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3%의 가산세가 부과되고, 장기간 미납 시에는 재산 압류나 공매까지 진행될 수 있어요.
기한 내에 꼭 납부하시고 불이익을 피하는 것이 중요해요!
6. 재산세 납부일 체크리스트 요약
- 6월 1일 기준 소유 여부 확인
- 고지서 수령 및 납부 시기 미리 체크
- 세액 20만 원 초과 시 7월과 9월에 나눠서 납부
- 납부 방법 미리 설정 (자동이체 추천)
- 기한 내 납부로 가산세 피하기
7월 재산세는 절대 미뤄두지 마세요.
특히 1 주택자라면 세액 감면도 적용되는지 확인하고, 2025년 하반기 재산세 납부일을 잘 챙겨서 불이익 없이 마무리하시길 바랍니다.
'알면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영수증 발급방법 절세를 위한 필수정보 (0) | 2025.07.03 |
---|---|
2025년 퇴직금 지급규정 완전 정리 (0) | 2025.07.02 |
재직증명서 인터넷발급 한눈에 보기 (1) | 2025.06.18 |
전입신고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하는 법 총정리 (4) | 2025.06.13 |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완전 정복 (0) | 202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