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좋은 정보

중위소득 기준과 확인방법 이 글 하나로 끝!

by hana0305 2025. 8. 11.

 

요즘 정부지원 혜택을 알아보다 보면 꼭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중위소득인데요. 

기초생활보장제도, 한부모가정 지원, 청년월세지원, 에너지바우처 등 다양한 복지정책의 신청 자격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위소득의 기준부터 개념, 확인방법까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하고 친절하게 안내해 드릴게요. 

 

목차 
1. 중위소득이란?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얼마인가요?
3. 중위소득 기준과 확인방법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4. 중위소득 기준과 확인방법 비율별 금액 계산 예시
5. 중위소득이 왜 중요한가요?
6. 나에게 맞는 복지혜택, 어디서 확인하나요?

 

 

1.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소득 군으로 나열했을 때 정가운데 위치한 가구의 소득 수준을 말합니다. 

즉, 절반의 가구는 이보다 더 많이 벌고 나머지 절반은 이보다 덜 번다는 의미예요. 

중위소득은 극단적인 고소득층이나 저소득층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평균소득보다 현실적인 기준으로 간주되며 정부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해마다 중위소득을 고시하고 다양한 복지 정책의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얼마인가요?

중위소득 기준

 

2025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기준 중위소득 100%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 구성원 수에 따라 기준이 달라지니 꼭 확인하세요.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월 기준)
1인 가구  2,392,013원
2인 가구 3,932,658원
3인 가구 5,025,353원
4인 가구 6,097,773원
5인 가구  7,108,192원
6인 가구 8,064,805원

 

※ 복지제도 별로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예: 30%, 50%, 70%, 100%, 120%) 이하일 때 신청 자격이 주어지는 구조입니다. 

 

3. 중위소득 기준과 확인방법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중위소득 기준

 

1. 가구원 수부터 정확히 확인하세요. 

함께 사는 가족이 몇 명인지, 등본상 주소지가 같은지 등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2. 우리 가구의 소득을 계산해 보세요. 

소득에는 단순 월급 외에도 사업소득, 임대소득, 이자 및 배당소득, 연금소득 등이 포함됩니다. 

심지어 일정 재산은 환산 소득으로 계산되어 적용되니 단순 계산보다는 모의계산을 활용하는 게 정확해요. 

3. 중위소득표와 비교해 보세요. 

예를 들어 3인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5,025,353원이므로 이보다 적다면 중위소득 100% 이하입니다. 

보다 엄밀하게는 70% 이하, 120% 이하 등 지원 정책에 따라 요구 조건이 다를 수 있으니 해당 기준을 따로 확인하세요. 

4. 중위소득 기준과 확인방법 비율별 금액 계산 예시

3인 가구 기준(2025년)

중위소득 70%: 5,025,353원 × 0.7 = 약 3,517,747원

중위소득 120%: 5,025,353원 × 1.2 = 약 6,030,423원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50%: 6,097,773원 × 0.5 = 약 3,048,886원

중위소득 100%: 6,097,773원(기준치)

정책마다 자격 요건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비율 계산이 중요해요. 

실제 금액 기준을 확인하는 것이 훨씬 정확합니다. 

 

5. 중위소득이 왜 중요한가요?

중위소득 기준

 

많은 분들이 그게 나랑 무슨 상관이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중위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은 복지제도의 기초 자격요건으로 활용됩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중위소득 30 ~ 50% 이하 

● 차상위계층: 중위소득 50 ~ 60% 이하 

● 청년월세 특별지원: 중위소득 100% 이하 

● 에너지바우처: 중위소득 50 ~ 60% 이하(특정 요건 충족 시)

● 긴급복지지원: 중위소득 75% 이하 등 

즉, 내 소득이 중위소득 몇 %에 해당하느냐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혜택의 폭이 달라지는 것이죠. 

그래서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6. 나에게 맞는 복지혜택, 어디서 확인하나요?

중위소득 기준

 

정부에서는 복지로(http://www.bokjiro.go.kr) 사이트를 통해 중위소득 기준 조회 및 각종 복지 정책 모의계산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요.

https://www.bokjiro.go.kr

 

https://www.bokjiro.go.kr/ssis-tbu/

 

www.bokjiro.go.kr

 

혜택 찾기 메뉴에서 모의계산을 클릭

가족 수와 소득 항목 입력 후, 받을 수 있는 복지제도 자동 안내 또는 거주지 주민센터나 읍. 면. 동 복지 담당자에게 직접 문의해도 구체적인 안내를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중위소득은 단순한 통계 수치가 아니라 우리가 실생활에서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의 출발점이 됩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내 가구 수, 내 월 소득, 적용 비율, 이 세 가지만 알면 충분히 스스로 확인할 수 있어요. 

각종 복지제도를 신청할 계획이 있다면 반드시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를 기준으로 본인의 해당 여부를 먼저 체크해 보세요. 

놓치기 쉬운 지원금, 혜택을 내 손으로 챙기는 똑똑한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